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

도입배경

  • 11992년 리우지구정상회의를 계기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론으로 환경경영이 새로운 기업경영 패러다임으로 등장
  • 2조직에게 경제적 수익성뿐만 아니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포괄하는 경영전략을 도입할 것을 강력히 요구

개요

  • 1ISO 14001은 모든 산업 분야 및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 규격
  • 2기업은 환경경영시스템을 통해 환경 측면을 체계적으로 식별, 평가, 관리 및 개선함으로써 환경위험성을 효율적으로 관리
  • 3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은 일부 환경담당자들에 의해 운영되어 오던 기존의 관리방식을 탈피하여 전직원의 참여를 통해 사전에 환경문제를 관리하는 시스템적 접근방법 
  • 4조직은 ISO 14001 인증을 통해 경제적 이윤 창출과 환경성과 개선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획득

기대효과

- 폐기물 및 에너지 소비 최소화를 통한 직접비용 절감
- 환경사고의 사전 예방 및 최소화
- 환경법규 준수
- 환경성과의 지속적 개선을 통한 환경 문제점 해결
- 국제적 신뢰 획득을 통한 대외 무역장벽 극복
- Green 기업으로 이미지 개선

요구사항 구성

1 적용범위6 기획
6.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6.2 목표 및 목표 달성 기획
2 인용표준7지원
7.1 자원
7.2 역량
7.3 인식
7.4 의사소통
7.5 문서화된 정보
용어와 정의
3.1 조직 및 리더십 관련 용어
3.2 기획 관련 용어
3.3 지원 및 운영 관련 용어
3.4 성과 평가 및 개선 관련 용어
8운용
8.1 운용 기획 및 관리
8.2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조직상황
4.1 조직과 조직상황의 이해
4.2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이해
4.3 환경경영시스템 적용범위 결정
4.4 환경경영시스템
9성과평가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9.2 내부심사
9.3 경영검토/경영평가(management review)
리더십
5.1 리더십과 의지표명
5.2 환경방침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10개선
10.1 일반사항 
10.2 부적합 및 시정조치
10.3 지속적 개선
확대

 EMS Model

Environmental policy(환경 방침) ▶ Plan(계획) ▶ Implementation & Operation (실행 및 운영) ▶ Checking & corrective action(점검 및 시정조치) ▶Management Review(경영검토)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