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C(EurAsian Conformity-식품) 또는 TR CU(Declaration of Conformity to Technical Regulations of the Customs Union) : EAC 인증은 유라시아경제연합 (Eurasian Economic Union) 회원국인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시, 아르메니아, 키르기즈스탄 5개국간 단일인증제도로써 해당 인증을 받은 제품은 EAC (Eurasian Conformity) 마크를 부착 후 해당 5개국으로 진출 및 유통이 가능
유라시아경제연합 CU 인증 필수 5개국 납품 시 현지 공식 유통을 위해서는 EAC 마크 부착이 필수임, 현재 온라인 유통의 경우는 아직 확대대지 않아 유통이 아예 불가능한 것이 아니나 마트, 식당 등 정식 매장에 납품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증 받아 수출해야 함
유라시아경제연합 CU 인증 필수 5개국 납품 시 현지 공식 유통을 위해서는 EAC 마크 부착이 필수임, 현재 온라인 유통의 경우는 아직 확대대지 않아 유통이 아예 불가능한 것이 아니나 마트, 식당 등 정식 매장에 납품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증 받아 수출해야 함
(1단계) 필요 획득 인증 확인 후 시험 인증 대행기관과 계약 및 비용 납부, 필요 서류 제출
(2단계) 샘플 제공 후 기관에서 테스트 실시, 시험 성적서 발행
(3단계) 부적합, 미비 사항 을 경우 시정 조치 및 재시험
(4단계) 인증서 발행
<적합인증서, COC(Certificate of Conformity) >
- 국내 제조사(제조사의 지정 대리인) 및(또는) 수입자는 신청서류 일체를 인증기관에 제출함
- 인증기관은 신청제품이 해당 기술규정 적용대상인지를 확인한 후 지정 시험기관을 통해 시험을 진행하고 시험성적서를 평가함
- 공장심사CIG 023 공장심사 성적서로 대치 가능
- CoC 발행
- 제조사 및(또는) 수입자는 제품에 EAC 마크 부착
<적합성 선언서 (DoC: Declaration of Conformity)>- 공장심사 해당 사항 없음
- 제조사(제조사의 지정 대리인) 및(또는) 수입자는 제품이 해당 기술규정의 요건에 적합함을 증명하는 문서들을 준비함
- 제품이 해당 기술규정 적용대상인지를 확인함
- CU에서 지정한 DoC 양식에 맞춰 제품이 해당 기술규정에 적합함을 기술한 DoC를 작성함
- 제조사 및(또는) 수입자는 제품에 EAC 마크 부착
- DoC 등록
- 인증기간 : 1~2주 (시험기간 제외)
- 인증유효기간 : 5년
<필요 서류>
- 인증을 신청하는 러시아업체의 Tax Payer Number Certificate(ИНН), Primary State Registration Number Certificate(ОГРН) 스캔본 : 사업자등록증, 세금납부서류 등
- 인증 발급 신청 기업에 대한 정보 (업체명, 은행 정보 등) : 제품 사양 및 카탈로그, 제품 HS Code, EAC 현지 대리인과의 업무 계약서
- 신청업체가 작성한 인증 발급 신청서
- 제품 성분표 : 화학제품의 경우는 MSDS, 식품/화장품/화학제품은 성분표
- 기타 인증기관이 요청하는 서류
<기타 서류>
- 전자 서명(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러시아 업체가 보유해야 함, 사전 제출 불요), 한국기업-러시아기업 간 계약서 (선택 제출), 국제 인증서(보유 시)
ISO22000는 각 국가에서 다양한 식품안전규격이 HACCP 형태로 제정되고 활용되고 있어 국제 표준 차원에서 2005년에 제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GFSI(국제식품안전협회)승인규격이 까다로운 관리감독과 엄격한 심사를 요구하고 있어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식품산업에서 대세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FSSC22000이 ISO22000보다 현실적인 문제를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더 선호하고 있지만, 미국과 같이 영향력 있는 국가와 GFSI와 같은 이해관계 단체에서는 대체되는 국제규격으로 승인 받지 못해 국제 규격으로 활발하게 활용되지 못했습니다.
과거 국내에서는 HACCP이 대세였지만, 지금은 해외에서 요청하는 GFSI승인규격이 실질적인 글로벌 식품 안전을 대표하는 규격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자체적인 식품안전규격으로 체계적인 관리를 원한다면 ISO22000을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추후 해외에서 인정 받기 위해서는 FSSC22000, BRC Food, IFS Food와 같은 GFSI의 규격을 통해 자체 인증을 업그레이드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